정부는 끊임없이 경제를 발전시키려 한다. 안 그러면 경제가 침체되고 국가가 발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제를 발전시키려면 건설을 발전시키든, IT를 발전시키든, 복지를 발전시키든 여하튼 경제의 숨통을 터 줘야 한다. 결국 국가는 더 많은 화폐를 발행해서 시장에 계속 풀 수밖에 없다.
외국에서 돈을 빌려 오건, 아니면 채권을 발행하건 계속 돈을 뿌려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처럼 갑작스럽게 왕창 뿌리든지, 아니면 평상시처럼 완만하게 뿌리든지 계속 돈을 뿌린다면 물가는 더욱 오르고 그만큼 돈의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나중에는 돈이 아니라 종잇조각이 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가? 세상은 그렇게 돌아간다.
우리는 돈의 생리를 잘 알고 그것에 맞게 대처해야 한다. 아직도 대출을 무서워하는 바보들, 아직도 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바보들, 이런 바보들 때문에 우리 같은 사람이 부자가 되는 것이다.
저금리 기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자. 단시간에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가 금리를 올릴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는 극히 단기간일 것이다. 우리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된다고 보고 거기에 맞게 행동하면 된다.
저금리 기조에서 저축, 예금, 저축형 복리 보험, 연금저축 등에 가입하는 것은 바보다. 가만히 앉아서 손해 보는 일을 왜 한단 말인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 돈이 시중에 풀릴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소비자 물가는 가파르게 오를 텐데 그 소비자 물가를 아예 따라가지도 못하는 금융 상품에 가입하는 것은 그 순간부터 손해를 보는 셈이다.
저금리에서는 실물 자산이 이길 수밖에 없다. 소형 아파트라든가 금이나 은 같은 자산이 그 어떤 수단보다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다시 말하지만 저금리에서 현금을 보유하거나 이율이 물가상승률보다도 낮은 금융 상품에 가입하는 것은 바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부동산투자 100문 100답_ 박정수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진보정권 때 부동산 가격이 더 많이 오르는가?_ 브라운스톤 (0) | 2020.02.25 |
---|---|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할 수 있을까_ 홍춘욱 (0) | 2017.09.28 |
인구가 줄면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 바뀔까_ 백원기 (0) | 2017.06.23 |
물가가 오를 때는 현금이 나은가, 실물 자산이 나은가_ 박정수 (0) | 2016.10.24 |
물가는 계속 오르는 걸까_ 박정수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