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좋은 주식이라고 해도 너무 비싸게 사면 한 푼도 벌지 못한다. 주식이 싼지 비싼지를 알려면 기준이 있어야 한다. 주식이 싸고 비싼 것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나?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과학인 동시에 예술이다. 즉 단순히 재무적 수치만으로 기업을 평가해서 돈을 벌기란 어렵다. 수치화할 수 없는 질적인 평가요소가 들어가기 때문에 질적인 분석에 비중을 더 둔다.
그렇지만 몇 가지 수치적인 지표는 주식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쉽고 효과적인 수단이다. 거북이 투자법에서는 주식을 3가지 측면에서 평가한다.
자산 - 현재 얼마나 많이 벌어서 가지고 있나?
수익성 - 현재 얼마나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나?
성장성 - 향후에 수익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가?
이 3가지 측면이 주가 평가에서 가장 중요하다. 자산을 많이 가진 주식을 자산주라고 한다. 수익성이 좋은 기업은 현재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을 말한다. 성장성이 좋은 주식은 현재 수익보다 미래의 수익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기업 같은 기업을 말한다.
이들을 평가하는 지표는 뭔가?
자산평가지표 - PBR
수익평가지표 - PER
성장성 - ROE/PER
거북이 투자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PER가 5이하라면 강력매수후보이다.
2) PBR이 1이하라면 매수후보이다.
3) ROE/PER가 1 이상이면 매수후보이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지만 3가지 기준을 모두 통과한 주식에만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단 주의할 것은 실전투자할 때는 과거순이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예상순이익을 사용한다.
ROE/PER가 높은 주식에 투자하라!
ROE/PER가 2이상이면 사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벌 수 있는 주식이니 매수하라. ROE는 뭔가?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수치다. 기업이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업의 이익창출능력 수치이자, 자기자본수익률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ROE가 10이라면 주주가 연초에 1000원을 투자했더니 연말에 100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다.
ROE는 주주의 이익이 늘어나는 속도를 말한다. ROE가 20이면 주주의 이익이 매년 20%씩 늘어난다는 것이다. 즉 주식의 성장성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나는 성장성이 좋은 주식을 사고 싶어하되 동시에 주가가 낮을 때 사서 투자수익률도 높일 수 있는 주식을 사고자 한다. 이러한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지표가 바로 'ROE/PER'의 수치이다.
ROE/PER가 3이상이면 집을 팔아서라도 사야 할 매우 좋은 주식이므로 강력매수, ROE/PER가 2이상이면 사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벌 수 있는 주식이므로 매수, ROE/PER가 1이상이면 요모조모 더 따져보고 매수를 고려한다.
남에게 가르쳐주기 싫은 주식투자법_ 브라운스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반영한다_ 김대욱 (0) | 2020.08.01 |
---|---|
주식에 대한 편견_ 존 리 (0) | 2020.05.30 |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반드시 투자해라_ 존 리 (0) | 2020.05.15 |
주식이 뭔지부터 알자_ 월천대사&달시기 (0) | 2020.01.09 |
싼 게 비지떡인 주식은 피하라_ 브라운스톤 (0) | 2019.09.19 |
거북이 투자법_ 브라운스톤 (0) | 2019.09.19 |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어라_ 주식농부 박영옥 (0) | 2019.05.26 |
사적 시장 가치를 계산하라_ 브라운스톤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