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200'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10.08 적립식 투자 전략

적립식 투자 전략

2020. 10. 8. 12:36

매달 일정 금액으로 꾸준히!

 

적립식 투자란 보통 한 달에 한 번 날짜를 지정해서 같은 금액으로 같은 종목을 매수하는 투자 전략을 뜻한다. 시장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 전제조건을 둔 전략이다. 기간은 작게는 1년, 길게는 10년 이상이 되기도 한다. 같은 금액으로 꾸준히 매수하면 평균 단가가 시장가보다 낮아지는 시기가 오게 되고, 그때 매도해서 수익을 올리는 방법이다. 같은 금액으로 매수한다고 가정하면, 시장이 상회하는 경우에는 단가는 높지만 사는 주식의 수량은 줄어들고, 시장이 평균보다 하회할 경우에는 낮은 단가로 많은 주식을 살 수 있다.

 

문제는 어떤 주식을 매수하는지가 제일 중요한데, 개별종목으로 매수하면 리스크가 크다. 쉽게 말하면 20년 전에 삼성전자를 적립식 매수 방법으로 꾸준히 투자했다면 수익이 엄청나겠지만, 만약 상장 폐지되는 종목으로 적립식 투자를 했었다면 휴짓조각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결국, 리스크 회피 관점에서 볼 때, 대표지수 ETF만큼 안전한 주식은 없다. 코스피200 ETF를 꾸준히 매수한다면 ETF안에 200종목이 한꺼번에 상장 폐지되는 상황이 오지 않고서야 주식이 휴짓조각이 될 위험은 없다. 아래 표를 보면서 적립식 투자자와 일시에 매수한 투자자의 수익률을 비교해보자.

 

10달 동안 매달 100만 원씩 ETF를 매수했다면, 총 1,185주를 평균단가 8,438원에 매수하는 셈이다. 1,000만 원을 가지고 한 번에 투자했다면, 10달뒤 시장이 하락했다가 상승할 경우 겨우 손실을 만회하지만, 적립식으로 했을 경우는 1,850,970원[(10,000원 - 8,438원) x 1,185주]이라는 이익이 발생한다. 물론 저점을 미리 알아서 5월에 6,500원에 대량 매수한다면 수익률이 가장 높지만, 저점을 미리 알아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적립식 투자가 하나의 좋은 투자 전략이 될 수 있다. 매달 일정 금액으로 꾸준히 투자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적립식 10달 평균가격 : 8,438원 < 일시 매수 단가 : 10000원

 

적립식 투자를 할 때, 수익률이 어느 정도일 때 매도해야 하는지를 물어보는 투자자가 많다. 필자는 적립 기간의 이자 수익률보다 높을 때 매도하고 나오라고 권한다. 만약 통계적으로 높은 고점에서 이익을 실현하고 나오고 싶다면 코스피 지수를 잘 살펴보자. 뉴스에서 코스피가 최고점을 찍었다고 말할 때가 고점일 확률이 높고, 반대로 코스피가 연중 최저점이라고 나올 때는 매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은 시장이 많이 하락한 것 같다고 해서 더 많이 투자하지도 말고, 고점이라고 판단하여 금액을 줄이지도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항상 시장은 본인의 예측과는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 하나 주의할 점은 절대로 레버리지나 인버스로 적립하지 말라는 것이다. 복리 효과로 인해 수익률이 생각보다 낮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원자재, 원유 ETF처럼 롤오버 위험이 많은 ETF도 지양해야 한다.

 

레버리지 ETF, 인버스 ETF는 적립식 투자 금지!

 

포스트 코로나 주식투자_ 한국경제TV 보도본부 방송제작부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8)
주식 (40)
부동산 (46)
전망 (6)
투자 (15)
법률 (3)
경매 (2)
연금 (1)
상속 (3)
좋은글 (22)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