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할부금이나 주택 대출금 등으로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수억 원의 빚을 지고 있는 가정이 많다는 보도를 보았다. 또한 부동산 투자를 하려면 대출을 받는 걸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진짜 큰 부자는 빚이 없다. 부자까진 바라지 않는다 하더라도 가난에서 벗어나려면 우선 빚이 없어야 한다.
내가 아파트를 투자하다가 큰 곤경에 처한 적이 있었다. 대출을 많이 받아 큰 아파트를 샀는데, 이후에 가게 수입이 현저히 떨어졌고 설상가상으로 남편이 갑자기 방송 일을 쉬게 되었다. 방송 일과 장사의 공통점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방송에서 잘 나가다가 어느 날 출연이 끊기고, 잘나가던 음식점이 어느 날부터 손님이 뚝 끊기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밤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로 대출이자 갚는 것이 너무나 버거웠다. 남편에게 말할 수도 없고 말해봐야 팔란 소리밖에 나오지 않으니 혼자 끙끙 앓았다. 무리를 해서 아파트를 산 것을 후회하고 또 후회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팔려고 해도 그 당시 관례상 다운계약서를 썼기에 잘못하면 산 가격도 못 받을지 몰라 팔지도 못하고 속만 태웠다.
그 뒤부터 투자할 때는 절대 무리수를 두지 말아야 할 것을 명심, 또 명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탐나는 물건이 있을 땐 어쩔 수 없이 또 은행에 빚을 지게 된다. 그럴 경우에는 빚을 갚는데 주력하는 것을 최우선 방법으로 한다.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먼저 빚부터 갚아야 한다. 빚 무섭다고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재테크를 한다고 보기 어렵다. 약간의 불편과 고통을 감수하고라도 미래의 희망과 목표를 향해 좋은 투자처가 나오면 매수해야 한다.
이때 수입이 생기면 무조건 50대 50법칙을 고수하면 빚에서 벗어날 수가 있다. 수입의 반은 무조건 빚을 갚는데 충당하고 그 나머지를 지출하면 된다. 공격은 최선의 방어다.
경기가 어려울 때는 부동산 매매가 잘 안되니 특히 지나친 대출을 삼가해야 한다. 몇 천 평을 개발하여 타운하우스를 지어 놓고 빚더미에 앉은 사람을 보았다. 멋지게 집을 지었는데도 분양이 되지 않아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 20억이 넘는 대출금의 이자를 갚느라 허덕이고 있다.
부동산은 잘못 손대면 재산이 아니라 큰 빚덩이가 될 수 있다. 이자가 많아 감당할 수 없을 때는 100억짜리 부동산이 있다 한들 땅거지가 될 수 있다. 최소한 이자를 감당할 수 있고 현금 회전이 될때 부동산에 자금을 묻고 대출을 받는 것이 좋다.
나는 부동산 투자를 할 때 부동산 가격의 70~80%는 자기 자본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내가 가진 재산을 절대로 올인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하고 싶다.
부동산이라는 것은 시세라는 개념보다는 물건이 중요하다. 그래서 나는 좋은 물건을 고를 줄 아는 안목을 키우려고 노력한다. 또 내가 잘 아는 지역에만 투자를 한다. 지역에 대해 이미 꿰뚫고 있을 때는 실패의 확률이 적다. 잘못 투자했을 경우 소개한 사람을 원망해보았자 소용없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나다.
팽현숙의 내조재테크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에도 손절매가 필요하다_ 하완 (0) | 2019.03.17 |
---|---|
행운에 속지 마라_ 나심 니콜라스 탈렙 (0) | 2018.07.12 |
일하는 엄마를 위한 조언_ 동명희 (0) | 2017.12.07 |
스물아홉에 깨달은 0과 1의 차이_ 안규호 (0) | 2017.09.28 |
남들 일할 때 일하고, 남들 쉴 때도 일한다_ 팽현숙 (0) | 2017.08.15 |
부자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_ 팽현숙 (0) | 2017.08.15 |
친구 따라 묻지마 투자하면 큰 코 다쳐요_ 팽현숙 (0) | 2017.08.15 |
한 때 백만장자였던 나_ 데이브 램지 (0) | 2017.02.26 |